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백준
- pinia
- 자바스크립트
- AWS 비용 최적화 바이블
- Junit5
- 한빛미디어
- 알고리즘
- 이벤트루프
- 이것이안드로이드다
- 네트워크
- 혼공컴운
- cicd
- HTTP
- Git
- WebTestClient
-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
- 스프링
- 헤드퍼스트 디자인패턴
- VueDevTools
-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
- vue-router
- Vue
- GitHub
- MySQL
- 러닝GO
- 2817
- 1436
- 이것이자바다
- JavaScript
- Java
- Today
- Total
이시안 개발 블로그
백준 2606 - 바이러스 본문
2606번: 바이러스
첫째 줄에는 컴퓨터의 수가 주어진다. 컴퓨터의 수는 100 이하이고 각 컴퓨터에는 1번 부터 차례대로 번호가 매겨진다. 둘째 줄에는 네트워크 상에서 직접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쌍의 수가 주어
www.acmicpc.net
문제
신종 바이러스인 웜 바이러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된다. 한 컴퓨터가 웜 바이러스에 걸리면 그 컴퓨터와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는 웜 바이러스에 걸리게 된다.
예를 들어 7대의 컴퓨터가 <그림 1>과 같이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되어 있다고 하자. 1번 컴퓨터가 웜 바이러스에 걸리면 웜 바이러스는 2번과 5번 컴퓨터를 거쳐 3번과 6번 컴퓨터까지 전파되어 2, 3, 5, 6 네 대의 컴퓨터는 웜 바이러스에 걸리게 된다. 하지만 4번과 7번 컴퓨터는 1번 컴퓨터와 네트워크상에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.
어느 날 1번 컴퓨터가 웜 바이러스에 걸렸다. 컴퓨터의 수와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정보가 주어질 때, 1번 컴퓨터를 통해 웜 바이러스에 걸리게 되는 컴퓨터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첫째 줄에는 컴퓨터의 수가 주어진다. 컴퓨터의 수는 100 이하이고 각 컴퓨터에는 1번부터 차례대로 번호가 매겨진다. 둘째 줄에는 네트워크 상에서 직접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 쌍의 수가 주어진다. 이어서 그 수만큼 한 줄에 한 쌍씩 네트워크 상에서 직접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번호 쌍이 주어진다.
출력
1번 컴퓨터가 웜 바이러스에 걸렸을 때, 1번 컴퓨터를 통해 웜 바이러스에 걸리게 되는 컴퓨터의 수를 첫째 줄에 출력한다.
풀이
- 네트워크 유형의 문제로 그래프 탐색 문제 → DFS로 풀었다
- 인접 리스트로 풀 경우 한 번의 DFS 시간 복잡도는 O(V+E)
- (전체 복잡도는 잘 모르겠다)
- 컴퓨터의 수가 100개 이하 → 100개의 노드에 100개의 인접 노드가 있어도 괜찮지 않을까?
- 인접 리스트 구현
노드 인접 노드 1 2, 5 2 1, 3 3 2 4 7 5 1, 6 6 5 7 4 - dfs() 호출 시 현재 노드를 방문 처리 후 현재 노드의 인접 노드를 재귀 호출하는 식으로 풀었다
코드
package bjo._2606;
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
import java.io.IOException;
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
import java.util.ArrayList;
import java.util.StringTokenizer;
public class Main {
static ArrayList<Integer>[] graph;
static boolean[] visited;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int 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int K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graph = new ArrayList[N + 1];
visited = new boolean[N + 1];
for (int i = 0; i < graph.length; i++) {
graph[i] = new ArrayList<>();
}
for (int i = 0; i < K; i++) {
StringTokenizer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int x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int y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graph[x].add(y);
graph[y].add(x);
}
dfs(1);
int answer = 0;
for (int i = 2; i < visited.length; i++) {
if (visited[i]) {
answer++;
}
}
System.out.println(answer);
}
static void dfs(int target) {
visited[target] = true;
for (int i : graph[target]) {
if (!visited[i]) {
dfs(i);
}
}
}
}
'📈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1012 - 유기농 배추 (0) | 2022.06.05 |
---|---|
백준 1213 - 팰린드롬 만들기 (0) | 2022.05.26 |
백준 1436 - 영화감독 숌 (0) | 2022.05.15 |
백준 2817 - ALPS식 투표 (0) | 2022.03.26 |
알고리즘 복잡도 (0) | 2022.01.23 |